728x90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GAy3my6Yroc&list=PL93mKxaRDidECgjOBjPgI3Dyo8ka6Ilqm&index=48&t=5s
loginForm.jsp
우린 form형태가 아닌
json 형태로 데이터 전송해줄 것이다.
왜 여길 캡처했지?
13행 save:function()부터 쭈욱 밑에까지 복사해서
login:function()을 하나 더 만들면 된다.
15행에 data부분은
로그인시 필요한 정보인
username과 password만 있으면 된다
36행 로그인 세션 유지하기 위해 파라미터에 HttpSession session
저렇게 추가해서
40행~42행처럼 session만들어 주면 되는구나!
전통적인 로그인방식의 나름 핵심부분인 듯(시큐리티 쓰면 이렇게 안 하는듯 하다)
1번째 방법)
13행이 JPA 네이밍전략이라고
findByUsernameAndPassword라는 함수는 없지만
Username과 Password의 대문자를 보고
알아서
12행과 같은 쿼리문을 써서 data를 받아올 수 있다.
2번째 방법)
16행, 17행처럼 직접 쿼리문 짜서 login함수 만들어 주면 된다.
26행보면 아까 언급한 1번째 방법으로 로그인 data를 가져오는걸 볼 수 있다.
그러고 header.jsp가서
22행부터 36행에 해당하는 choose문 작성해준다.
728x90
'Spring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부트 강좌 48강(블로그 프로젝트) - 스프링 시큐리티 체험해보기 (0) | 2022.01.23 |
---|---|
스프링부트 강좌 47강(블로그 프로젝트) - 시큐리티 시작전 요청 주소 변경 (0) | 2022.01.23 |
스프링부트 강좌 45강(블로그 프로젝트) - 스프링 JPA의 OSIV 전략 (0) | 2022.01.23 |
스프링부트 강좌 44강(블로그 프로젝트) - 스프링의 전통적인 트랜잭션 (0) | 2022.01.23 |
스프링부트 강좌 43강(블로그 프로젝트) - REPEACTABLE READ (0) | 2022.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