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SQL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SQL 강의 4강 - 오라클 PDB 서버에 접속하기

지각생 2022. 1. 6. 00:09
728x90

오라클 database 서버는 2 종류가 있다.

 

virtual machine과 같은

database안에 가상의 database개념의 서버가 있다.

PLUGGABLE DATABASE라고 한다.

 

이전에 접속한 서버는 컨테이너로서의 CDB라는 서버이다.

PLUGGABLE DATABASE 생성 구문이다.

이렇게 치면

템플릿 개념의 기존 CDB를 복사해서

이렇게 복사해서 PDB들을 여러개 둘 수 있다.

 

처음에 설치하면 CDB와 XEPDB1이라는게 있다.

 

이게 존재하는지 확인해 보자.

 

select name from v$pdbs;

 

 

강의 화면

 

내 화면

 

PDB$SEED : 앞으로 만들어질 것의 원본, 망가트리면 부담스러움

ORCLPDB : 가상 데이터 베이스, 컨테이너 베이스와 완전 별개, 망가져도 부담스럽지 않음

 

여기에 접속하면 가상 PDB 서버에 접속하는 것임.

 

테스트

실패

성공

접속

오라클 학습용 PDB1서버의 sys계정과

학습서버의 sys계정은 별개의 계정이다.

 

로컬이 아닌 다른 원격에서도 접속할 수 있음.

EXEC DBMS_XDB.SETLISTENERLOCALACCESS(TRUE);

가 기본값이어서 원래는 로컬 DB에만 접속할 수 있는데

False로 둬서 가상 서버에서도 접속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미

나는 에러가 자꾸 떠서 가상서버 설정은 포기해야 할 듯하다.

 

접속이 가능하면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jzPGKAU4fCU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