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스프링 강의 12강 _ 어노테이션을 이용할 때의 장점과 @Autowired를 이용한 DI 해보기

지각생 2021. 12. 27. 21:14
728x90

자바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 만들때 초기화 2가지 방법

1. xml이용해서 외부파일에 설정방법 두기

2. 어노테이션이라고 해서 코드파일에 설정 심기

 

이제부터 2번째 방법 배움

 

B2결합 중

B2결합을 -> 3결합으로 바꾸려 함

 

 

 

이런 방식으로 xml에서 했던 작업을 어노테이션 방식으로 바꿔보자

 

 

<bean id="console" class="spring.di.ui.InlineExamConsole" >

setting.xml에 써놓고

해당 파일 setExam()메서드에 

@Autowired를 달아 놓으면 실행시 알아서 찾는다

 

@Autowired지시 하나가

<!-- console.setExam(exam); -->
<!-- <property name="exam" ref="exam"></property> -->

이 표현 두 줄을 대신 해준다

 

대신 xml파일에 객체 생성시 @Autowired를 찾으라는 것을 지시서에 표기해놔야 한다.

 

찾으라는 지시 방법은 Namespaces에서

context체크 하면

xmlns:context="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

자동으로 추가된다.

 

그리고 직접

<context:annotation-config/>

입력

 

그럼 에러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그럼 연결 근거는 무엇일지 다음 강의에서 알아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S065KRjXRSY&list=PLq8wAnVUcTFUHYMzoV2RoFoY2HDTKru3T&index=12 

 

 

 

 

728x90